#왕초보재테크_금투자_1
금은 왜 가치가 있을까? 초보를 위한 금 투자의 이유(왕초보재테크_금투자1)
“요즘 금값이 올랐다는데, 금 투자를 시작해볼까?”
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분들이라면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보셨을 거예요.
특히 초보 투자자라면 ‘금은 왜 계속 가치가 있을까?’라는 질문부터 드는 게 당연하죠.
저도 금투자는 많이 들어봤는데 실제로 알아보지 못해 실천하지 못하고 있었어요.
이번 글에서는 왕초보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금투자에 대해 소개하고 같이 공부해 보아요^^
1. 금은 왜 가치가 있을까?
1) 금이 ‘가치 있는 자산’으로 인정받게 된 역사적 배경
(1) 고대 문명에서의 금 (기원전 3000년경~)
- 이집트, 메소포타미아, 인도 등 고대 문명에서는 금이 이미 왕실의 상징이자 제사 및 예술용 자산으로 사용
- 금은 반짝이는 외형, 부식되지 않는 특성, 그리고 가공하기 쉬운 성질 덕분에 신성한 금속으로 여김
- 사용 자체가 곧 권력과 부의 상징이 되었음
(2) 금 = 통화의 시작 (기원전 600년경~)
- 리디아 왕국(지금의 터키 지역)에서는 세계 최초로 금속 화폐(금 + 은 혼합)를 만듦
- 이후 그리스, 로마, 중국 등도 금을 기반으로 한 동전을 발행하면서 화폐로서의 금의 지위가 강화됨
- ‘금 = 교환 가능한 통화’라는 개념이 정착된 시기
(3) 금본위제의 등장 (19세기~20세기 초)
- 19세기 영국이 금본위제(Gold Standard)를 도입하면서, 금은 세계 경제의 중심이 됨
- 금본위제란? → 지폐는 금으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는 제도
- 이후 미국, 프랑스 등 주요 국가들이 금본위제를 따르며 금은 ‘국제 통화 시스템의 기준이 되었음
- 이때부터 금은 ‘국가도 신뢰하는 자산’이 됨
시대 | 금의 역할 | 의미 |
고대 | 왕실, 제사용 | 신성한 금속 |
고대~중세 | 금화 | 교환 수단 |
근대 | 금본위제 | 통화의 기준 |
현대 | 실물 자산, 투자 자산 | 인플레이션 방어, 안전자산 |
(4) 금본위제 종료 후에도 살아남은 가치 (1971년 이후)
- 1971년, 미국 닉슨 대통령은 달러의 금 태환을 중지하면서 금본위제를 폐지했음 (소위 ‘닉슨 쇼크’)
- 하지만 사람들의 금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유지되었음
- 금은 이제 국제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는 자산이 됩니다.
- 금은 더 이상 화폐는 아니지만, 여전히 ‘가치 저장 수단’으로 존속하게
2) 금은 희소성 있는 실물자산
- 금은 인위적으로 만들어낼 수 없는 자원
지구상에 존재하는 양이 한정되어 있고, 채굴도 점점 어려워지고 있음 - 미국 지질조사국(USGS)에 따르면, 지금까지 발견된 금의 총량은 약 244,000톤으로 추정
- 이 중 약 187,000톤은 이미 채굴되어 사용되었고, 지하에 남아 있는 확인된 매장량은 약 57,000톤
이처럼 희소한 자산은 시간이 지나도 가치가 쉽게 떨어지지 않음
3) 금은 인플레이션에 강한 안전자산
- 물가가 오르면 (=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) 돈의 구매력이 떨어짐
예를 들어, 1만원으로 살 수 있던 물건이 이제 1만2천원이 됨 - 이럴 때 사람들은 “지금 가진 현금이 미래에 쓸모 없어질 수도 있다”는 걱정을 함
- 그래서 사람들이 금처럼 가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물 자산으로 돈을 바꿈
- 수요가 늘어나니 금값이 올라감
-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나 전쟁, 금융 불안이 발생할 때마다 금 가격은 상승
- 금은 이자를 안줌
- 하지만 현금이나 예금의 실질이자(=금리,물가상승률)가 낮아지면, 금의 수요는 올라감
상황 | 사람들의 심리 | 금가격 영향 |
물가 상승 | “현금 가치 떨어지겠네…” | 금 수요 ↑ |
경제 불안 | “안전자산 필요해!” | 금 수요 ↑ |
금리 낮음 | “예금 넣어도 이자 별로네…” | 금 수요 ↑ |
4) 금은 화폐와 다른 ‘진짜 자산’
- 돈은 정부나 중앙은행이 발행하고 신뢰로 유지됨
- 금은 누구나 인정하는 국가나 제도가 바뀌어도 그자체로 가치를 평가받는 실물자산임
- 화폐가 흔들릴 수록 오히려 금은 더 믿을수 있는 자산으로 평가됨
2. 금투자를 왜 해야 할까?
1) 위기 상황에서도 자산 보호 가능
- 경기 침체, 금리 인하, 전쟁 등 불확실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
2) 투자 포트폴리오 분산 효과
- 주식, 부동산처럼 변동성이 큰 자산과 달리 금은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
3) 쉽게 시작할 수 있는 투자
- 금통장, 금 ETF, 골드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액 투자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초보자에게 적합
3. 왕초보의성찰
- 금이 기원전 3000년부터 가치 있는 자산으로 여겨졌다는 사실에 정말 놀랐다.
- 그저 반짝이고 비싼 금속이라 생각했는데, 알고 보니 인류 역사 속에서 깊은 의미를 가진 금이었다.
- 특히 ‘금본위제’라는 단어는 익숙했지만, 지폐를 금으로 바꿀 수 있는 제도였다는 건 처음 알았다.^^;;
- 옛날엔 진짜로 금이 돈이었구나 싶은 생각에 조금 감탄스럽기도 했다.
- 요즘엔 종이돈도 신용카드도 있지만, 변하지 않는 실물 자산으로 금이 계속 인정받는다는 게 신기하다.
- 금의 역사를 알고 나니, 이제는 그냥 장신구가 아니라 '신뢰받는 자산'이라는 생각이 든다.
'왕초보재테크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금투자, 어떻게 시작할까? 초보자를 위한 실전 가이드(금투자_2) (2) | 2025.05.11 |
---|---|
비트코인 이제 분산투자 중 하나! 비트코인 하는 법 진짜 쉽게 알려드립니다! (2025 최신 입문 가이드)(비트코인_5) (4) | 2025.05.07 |
비트코인 ETF 완전 정리! 비트코인 ETF가 뭐길래 다들 난리일까?(비트코인_4) (2) | 2025.05.06 |
비트코인 반감기 이후 가격 흐름과 시장 반응(비트코인_3) (2) | 2025.05.05 |
비트코인은 왜 만들어졌을까?|사토시 나카모토의 의도와 철학(비트코인_2) (7) | 2025.05.03 |